청년희망적금 만기금, 이렇게 불려보세요… 최대 856만원 수익도 가능

청년들 사이에서 요즘 가장 자주 오가는 대화 주제는 바로 청년희망적금 만기금 활용에 관한 것입니다. 2월과 3월 사이 이 적금의 만기 시점이 돌아오면서, 만기금을 어떻게 운용할지 고민하는 청년들이 많아졌습니다.
일반적으로 적금이 만기되면 그 금액은 수시입출식 예금으로 옮겨지는데,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국내 5대 은행(KB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·NH농협)의 수시입출금 예금 잔액은 전월 대비 23조 원이나 증가했습니다. 이는 많은 청년들이 당장 자금을 쓸 곳을 정하지 못하고 일단 은행에 보관 중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.
이에 따라 일부 청년들은 만기금을 더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. 그중 하나가 바로 정부 정책 금융상품인 ‘청년도약계좌’입니다.
‘청년도약계좌’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성 금융상품으로, 안정적인 고금리를 제공하며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가입 조건은 개인 소득이 연 7,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 4,800만 원 이하일 것, 그리고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250% 이하일 것 등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이 계좌에 가입하면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정부는 여기에 최대 연 6% 수준의 기여금을 더해 줍니다. 계약 기간은 5년(60개월)이며,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청년희망적금 만기금으로 갈아타면 더 유리
이미 청년희망적금을 통해 목돈을 모은 청년이라면, 이 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옮겨 운용하는 것이 신규 가입보다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 1,260만 원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고, 이후 남은 42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씩 납입한다면, 매달 70만 원씩 60개월을 납입하는 신규 가입자보다 18개월을 먼저 납입한 셈이 됩니다.
그 결과 이자는 약 694만 원, 정부기여금은 약 160만 원으로, 총 수익은 856만 원이 됩니다. 반면 신규 가입자는 이자가 약 641만 원, 정부기여금이 동일하게 160만 원이므로 총 수익은 약 801만 원입니다. 약 55만 원의 차이가 생기는 것이죠. 이자 계산은 세전 기준입니다.
가입 기회는 정해져 있어요
청년희망적금의 만기 시점이 2월인 경우, 3월까지 청년도약계좌로 연계 가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마찬가지로 3월 만기자라면 4월까지 신청이 가능하며, 4월의 가입신청 기간은 3월 18일부터 4월 5일까지입니다. 이 기간 동안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뿐만 아니라 일반 청년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다른 대안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
물론 5년이라는 기간이 너무 길다고 느끼는 청년이라면, 신용협동조합의 예·적금 상품처럼 기간이 짧고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 또한 일부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투자도 고려하지만, 이 경우 원금 손실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요구됩니다.
청년희망적금으로 모은 소중한 자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싶다면,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면서 정부 지원까지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를 적극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.